대학원소개

 실험실 소개

식품공정공학 연구실의 모든 연구는 '현장 중심과 산업화'를 전제로 하고 있습니다. 현재 연구실에서는 유체역학, 열전달 및 물질전달에 대한 연구 수행을 통하여, 공정개발 및 적용과 공정해석에 적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생고분자 물질을 이용한 식품의 물성 및 분자동역학을 이용하여 신소재 개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CFD, Molecular dynamics, Neural network, RSM 등을 이용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산업화의 대규모 생산에서 투자위험을 최소화하는 project 기반의 연구를 산업체에 제공하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실에서는 식품소재 및 가공식품 산업의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공정의 공학적 설계 및 해석으로 산업화에 필요한 공정기반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인류의 식량난 해결을 위한 기술개발과 이를 위한 국제적 인재양성이라는 연구와 교육철학으로 한국 식품산업의 미래를 책임질 인재를 양성하고 있습니다.

 연구주제

  • 공정최적화 및 신공정 설계 (Process optimization and new process design)
  • 공정해석: 유체역학, 열전달 및 물질전달 (Process analysis based on momentum, heat, and mass transfer)
  • 생고분자 물성학 (Rheological characterization of biopolymers)
  • 분자동역학모델을 응용한 식품소재 개발 (Application of molecular simulation techniques to characteriz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novel food ingredients)

 특허 및 연구결과(최근 3년)

  • 어류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단백질 냉동변성 방지제 (2014)
  • 레토르트 파우치용 트레이 장치 (2014)
  • 고등어를 포함하는 가공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2014)
  • 도라지와 배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배-도라지청 및 이의 제조방법 (2014)
  •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해삼 제조방법 (2012)
  • 용해도가 증진된 티아민 다이-라우릴 설페이트 수용액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물 (2012)
  • 비타민 비1 유도체의 나노입자 용액 제조방법 및 그 나노입자 용액 (2011)
  • 생리활성물질 함량이 증가된 증숙 및 발효된 더덕의 제조방법 (2011)
  • 형광 스펙트럼 테스트를 이용한 분말상 대두의 저장 중 산패도 측정방법 (2011)
  • 초고압을 이용한 더덕 추출물의 제조방법 (2010)
  • 초고압 전처리 과정을 포함하는 대두유 추출방법 (2010)

 연구원

성명/학년 성명/학년
주명재 (석사 5학기) 유진실 (석사 3학기)
김윤성 (석사 2학기) 정화빈 (석사 2학기)
박현우 (석사 2학기) 함태훈 (석·박사 통합과정 2학기)
김주흥 (학부생) 이충욱 (학부생)
류채린 (학부생) 이윤주 (학부생)
김남균 (파트타임 석사과정, 한국김치절임식품공업협동조합)

 졸업생

성명 학위 취업
이수복
홍천메디칼 연구소
엄주태
다인소재 연구소
이윤주 일본 문부성 장학생 동경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박사과정 재학
이명기
엠에스씨(MSC) 연구소
문지훈
풀무원 연구소
홍윤기
Washington State University
Department of Biological Systems Engineering
박사과정 재학